올해 3월 30일 GTX A가 개통되었습니다. 공사 전부터 많은분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으셨을텐데요. 오늘은 GTX A 노선도부터 시간표와 요금 등 정보를 정리해드리겠습니다.
GTX A 노선 개통 정보
지난 3월 30일 GTX A 노선이 개통했습니다
다만 모든 구간을 개통한 것은 아니고 수서 ~ 통탄 구간만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구간 별 GTX A노선 개통 예정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간 | GTX A노선 개통 예정시기 |
수서~동탄 (구성역 제외) | 24년 03월 30일 |
구성역(용인) | 24년 6월 |
운정~서울 (창릉역 제외) | 24년 12월 |
전 구간 (삼성,창릉역 제외) | 26년 12월 |
창릉역 | 27년 |
삼성 | 28년 |
동탄~평택지제역 | 미정 |
삼성역이 언제 개통되는지 궁금하신 분들이 많으실텐데요
이는 영동대로 복합환승센터 공사가 지연되면서 28년 4월 이후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창릉역 또한 본래는 26년에 개통하려고 했으나 지연이 될 가능성이 있어 27년으로 보고 있습니다.
GTX A 노선도
계획중인 GTX A 노선 정차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정 - 킨텍스 - 대곡 - 창릉 - 연신내 - 서울역 - 삼성 - 수서 - 성남 - 용인 - 동탄
현재는 수서 ~ 동탄 구간만 개통이 되어 수서, 성남, 동탄역에 정차합니다.
GTX A 노선 요금
GTX A노선 요금은 일반 성인 기준 3,200원입니다.
10km를 넘으면 5km마다 250원씩 추가가 됩니다.
어린이는 50%, 청소년은 10%, 어르신은 30%, 장애인과 유공자는 50%씩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
주말에는 기본요금에서 10% 할인이 됩니다.
아래는 수서 ~ 동탄 (32.8km) 기준 일 때 요금입니다.
- 일반 : 4,450원
- 어린이 : 2,100원
- 청소년 : 3,850원
- 경로 : 2,950원
- 장애인 : 2,100원
- 유공자 : 2,100원
추가운임
기본 거리는 10km인데요.
이후 5km마다 250원씩 요금이 추가됩니다.
버스, 전철로 환승 시 따로 중복 요금을 내지 않아도 됩니다.
평일 기준으로 구간 별 요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서~동탄 (32.8km) : 4,450원
- 수서~구성 (21.6km) : 3,950원
- 수서~성남 (10.6km) : 3,450원
- 성남~수서(11km) : 3,450원
- 성남~동탄 (22,1km) : 3,950원
- 구성~동탄 (11.1km) : 3,450원
환승 및 K패스 이용 여부
GTX A노선은 버스, 전철과도 추가 비용 없이 환승이 가능합니다.
수서~동탄 노선은 SRT를 탈 수도 있는데요
이 구간에서 이동 시간은 SRT가 더 짧지만 운임비가 저렴합니다.
또한 환승을 하게 되면 더욱 비용 차이가 나게 됩니다.
K패스도 가능해 더욱 저렴하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일반 할인율이 20%이니 수서에서 동탄을 가는 경우 할인 받아 4,450원에서 3,560원으로 탈 수 있는 것입니다.
다만 중복 할인은 안 되기 때문에 K패스나 GTX 자체 할인 중 하나를 선택하셔야 합니다.
GTX A 노선 시간표
각 정류장 별로 GTX A 노선 시간표입니다.
1. 수서
수서 > 동탄방면 (하행선)
- 첫차 05:45
- 막차 00:39
수서를 출발해 동탄으로 가는 GTX A노선 시간표입니다.
첫 차는 새벽 5시 45분에 출발하며 막차는 00시 39분에 있습니다. 배차 간격은 약 20분 정도로 시간 당 2~3대가 정차합니다.
2. 성남
성남 > 동탄 (하행선)
- 첫차 05:52
- 막차 00:46
성남 > 수서 (상행선)
- 첫차 05:44
- 막차 00:41
성남에서 동탄으로 가는 GTX A노선 시간표입니다.
동일하게 출퇴근 시간에는 10~20분 그 외에는 20~30분의 배차간격을 가지고 있습니다.
3. 동탄
동탄 > 성남 방면 (상행선)
- 첫차 05:30
- 막차 00:27
동탄에서 수서 방향으로 향하는 상행선 시간표입니다. 5시 반에 첫차가 있으며 00시 27분에 막차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0~30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GTX A노선표와 요금, 시간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서울로의 접근성을 위해 만들어진 만큼 모두 개통이 된다면 빠르게 갈 수 있겠지만 출퇴근으로 이용하는 입장에서 가격적인 부담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배차 간격이 넓은만큼 이것만 믿고 출근하기에는 지각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합니다.
'정책.금융.시스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차상위계층 조건 및 혜택 자세히 확인해보세요 (0) | 2024.05.14 |
---|---|
주거급여 신청 방법, 지원내용, 신청자격 가이드 (최신ver.) (0) | 2024.05.13 |
케이패스 교통카드 신청 발급 방법 (+알뜰교통카드 전환 하기) (0) | 2024.05.11 |
더경기패스카드 신청 방법, 카드사 비교 정리 (0) | 2024.05.10 |
노인일자리 사업 대상자, 유형, 참여 방법 확인하세요 (0) | 202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