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책.금융.시스템

예금 적금 차이 쉽게 이해하기

by 하늘곰 2023. 8. 17.
반응형

예금 적금은 우리 일상에서 쉽게 들을 수 있는 금융 용어입니다. 어렸을 때부터 경제 공부를 위해 부모님이 들어주신 경험이 있으셨을텐데요. 자주 들었던 단어이긴 하지만 정확히 예금 적금 차이가 무엇인지는 알지 못하시는 분들이 많은데요. 오늘은 두 상품의 차이점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 예금 적금의 정의

돈을 모으기 위해서는 예적금을 하는 것은 기본입니다. 투자 전 목돈 마련을 위해서는 필수라고도 볼 수가 있죠. 특히 최근에는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이자율도 높아져 더욱 관심을 갖는 분들이 많은데요. 예금과 적금 중 어디에 넣는 게 좋을지 정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개념을 아는 것이 먼저입니다. 그래서 예적금의 정의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예금이란?

일정 금액을 한번에 맡기고 계약 기간 동안 더 이상의 납입없이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만약 2년동안 1천만원을 예금한다고 하면 처음 예금을 만들 때 천만원을 한 번에 입금하고 2년 후에 이자와 함께 받게 되는 것이죠

 

예금도 정기예금과 보통예금이 있습니다.

정기예금 : 계속 이야기한 것과 같이 일정금액을 입금하는 것으로 출금이 제한적인 상품입니다.

보통예금 : 자유로운 입출금 통장을 생각하면 됩니다. 돈을 넣어두고 자유롭게 입출금이 가능합니다. 대신 이율이 적습니다.

 

 

적금이란?

매월 정해진 금액을 은행에 저죽하는 방식입니다. 계약한 기간 동안 매달 돈을 입금하고 기간이 끝나면 원금과 이자를 받게 됩니다. 보통 저축을 한다고 했을 때 적금을 뜻하는 경우가 많죠

 

적금은 자유적금과 정기적금이 있습니다. 

정기적금 : 정해진 계약 기간 동안 매달 일정 금액을 납입하는 것을 말합니다. 적금 대부분 여기에 속합니다.

자유적금 : 기간 동안 원하는 금액을 자유롭게 납입하는 방식입니다. 아무래도 불입의무가 없기 때문에 이율은 정기적금보다 낮습니다.

 

 

 

 

 

2. 예금 적금 차이

 

만기 이자가 차이납니다

예금 적금은 이자 계산 방법이 다릅니다. 

이는 돈을 납입하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차이입니다.

 

 

1년 3%이자에 총 1200만원을 납입한다고 해봅시다

 

예금의 경우에

1200만원을 처음 납입하게 됩니다. 1년 후 3%에 해당하는 36만원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이는 12개월 내내 1200만원에 대한 3%이자를 적용받기 때문입니다

 

적금의 경우에

100만원씩 매달 납입을 합니다. 1년 후 19만5천원의 이자를 받습니다.

첫 달 100만원 납입 후 12개월동안 3%의 이자를 받고요. 두 번째 달 100만원 납입하고 11개월동안 3%의 이자를 받습니다.

이런식으로 적용이 되기 때문에 마지막 달은 100만원 납입 후 한 달분의 이자만 받게 되는 것이죠. 그렇다보니 예금보다 받는 이자는 적어지게 됩니다.

 

 

 

3.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할까?

몇 년 동안 쓰지 않아도 되는 목돈이 있다면 예금을 가입하고

목돈을 만들기 위해 매달 돈을 모아야 한다면 적금을 가입하면 됩니다.

 

 

 

 

예금 적금 차이를 이해하고 어떤 방식으로 재테크를 할지 정해보세요. 꾸준히 저축을 하다보면 원하는 목돈을 모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반응형